빠덕빠덕

빠덕스쿨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경제 관련(주식, 부동산, 사회 등)/국내 종목

정부 주도 육성 그린바이오! 마이크로바이옴 관련주(천랩,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

빠덕이 2021. 1. 23. 17: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부에서 2030년까지 2배 이상 키우려고 하는 '정부 주도 육성 산업'인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관련 종목(천랩,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마이크로바이옴은 무엇인가?

 마이크로 바이옴은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유전정보 전체"나 "미생물 자체"를 일컫는 용어로, “인간의 몸에 서식하며 공생하는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오타 (Microbiota)와 지놈 (Genome) 의 합성어입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수는 순수한 인체의 세포수보다 두 배 이상 많고 유전자 수는 100배 이상 많습니다. 따라서, 미생물을 빼놓고 인간의 유전자를 논할 수 없을 정도이기에 제2의 지놈(Second Genome)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익균과 유해균이 생성되는 원리와 질병간의 연관성 등을 분석할 수 있어 신약 개발 및 불치병 치료법 연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입니다. 또한 마이크로바이옴은 식품, 화장품, 치료제 개발에 쓰입니다. 다만 이를 활용한 의약품 개발 연구는 대부분 초기 단계여서 제품 개발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출처 : 고바이오랩

 

 오늘 알아보려는 마이크로바이옴 3개 종목(천랩,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에 대한 간단 비교를 본 후, 본격적으로 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시가총액 : 지놈앤컴퍼니 > 고바이오랩 > 천랩

- 상장주식수 : 고바이오랩 > 지놈앤컴퍼니 > 천랩

- 대주주비율 : 고바이오랩 > 천랩 > 지놈앤컴퍼니

 

 

 

1. 천랩

- 설립일 : 2009년 11월

- 상장일 : 2019년 12월

- 시가총액 : 1,993억 (기준 : 21년 1월 3일)

- 주요사업 : 생명정보플랫폼,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연구개발

 천랩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주력으로 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 정보에 대한 분석과 진단 그리고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약 14만 건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병진단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후보물질 발굴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 천랩 파이프라인 >

출처 : 천랩

 천랩의 파이프라인입니다. 비록, 뒤에 설명할 2개 업체(고바이오랩, 지앤놈컴퍼니)에 비하면 다소 진도율이 뒤쳐지는 상황이지만, 현재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에 대한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을 목표하고 있으며, 대장암, 간암, 비알콜성 지방간 등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CLCC1 균주를 발굴해 비임상 시험을 마친 상황입니다.

 

 사실 천랩은 신약 개발보다는, 다른 부분에서 강점을 갖고있습니다. 바로 데이터분석력입니다.

 

출처 : 천랩
출처 : 천랩
출처 : 천랩

 

 천랩은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플랫폼 전문업체라고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할 듯합니다. 신약 연구개발 조직이 구성된지, 1년도 안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이후 설명할 2개의 업체(고바이오랩, 지놈앤바이오)에 비하면 연구력이 다소 뒤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천랩은 마이크로바이옴 DB 관련해서는 최고의 기술력을 지니고 있지만, 신약 개발 부분에서는 신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추후에 신약 개발에 있어, 천랩의 많은 DB가 큰 자양분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 천랩에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이러한 부분들을 참고하시고,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파악후 투자를 진행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2. 고바이오랩

- 설립일 : 2014년 8월

- 상장일 : 2020년 11월

- 시가총액 : 6,727억 (기준 : 21년 1월 3일)

- 주요사업 :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건강기능식품 개발/건상기능식품 제조 및 도소매

 고바이오랩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과 임상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가면역, 대사, 정신의학, 감염 분야의 신약 개발과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입니다. 또한, 종속회사를 통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화장품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중이기도 합니다.

 신약개발 기간 단축 및 임상성공 확율을 높일 수 있는 신약개발 플랫폼 스마티옴을 개발하였는데, 스마티옴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기술과 공생 미생물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신약 개발후보를 도출하는 고바이오랩만의 원천 기술입니다.

 

 고바이오랩은 일부 기준을 제외하면, 미국/유럽 임상 2상 진입 기준 글로벌 Top 10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 : 고바이오랩

 

< 고바이오랩 파이프라인 >

출처 : 고바이오랩

 고바이오랩의 파이프라인입니다. 어떤 품목들을 진행하고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현재 고바이오랩은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중에서는 가장 R&D 진척도가 빠르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더불어 임상1상의 경우, 2020년 6월 12일 안전성 검사와 내약성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받기도 했습니다.

 

 

출처 : 고바이오랩

 재무재표를 확인해보면, 다소 꺼림칙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발생하기는 합니다. 표를 보면, 2020년 1H 기준, 고바이오랩은 당기순손실 470억원이 발생했습니다. 이 손실은, 금융상품 중 해당 공정가치 변동이 당기손익으로 인식되는 우선주 관련 파생상품으로 인한 것입니다.

 

출처 : 고바이오랩

 그리고 주주구성을 확인해보면, 보호예수 기한이 상당히 짧은 투자자들이 많이 보입니다. 비중 역시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닙니다.

 

 현재 고바이오랩에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은, 위에 작성된 요인들 외에, 다양한 요인들을 추가로 검토해보신다면 더욱 성공적인 투자를 진행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3. 지놈앤컴퍼니

- 설립일 : 2015년 9월

- 상장일 : 2018년 12월

- 시가총액 : 10,485억 (기준 : 21년 1월 3일)

- 주요사업 : 생체유익균치료제,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제조 및 연구개발

 기존 면역항암제에 효과가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및 신규타겟 기반 First-in-Class 면역항암제를 개발중입니다. Bed-to-Bench 전략을 토대로 신약 발굴 플랫폼(GNOCLE TM)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뇌질환/피부질환 치료제를 개발중입니다. 밸류체인 및 사업화 영역 확장을 통해 완전통합형 제약바이오 기업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지놈앤컴퍼니 파이프라인 >

출처 : 지놈앤컴퍼니

 

 지놈앤컴퍼니에서 진행하고 있는 신약개발 현황입니다. 회사의 대표 후보물질인 GEN-001은 경구용 항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로, 현재 면역관문 억제제와 병용 치료요법으로 개발 중입니다. 또한, 독일 머크·화이자와 미국에서 임상 1·1b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물질은 2020년 4월에 LG화학과 GEN-001에 대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의 독점적 권리를 부여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추가로, 2020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콘퍼런스'(KBIC)에서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제 작용 기전을 규명하는 논문의 메이저급 국제 학술지 게재가 확정되기도 했습니다.

 

 

< 지놈앤컴퍼니 사업성과 >

출처 : 지놈앤컴퍼니

 지놈앤컴퍼니는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글로벌 제약사와 딜 경험을 보유한 회사입니다.

 

 

< 지놈앤컴퍼니 향후 비젼>

출처 : 지놈앤컴퍼니

 지놈앤컴퍼니는 완전통합형 제약바이오 기업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제조/판매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소화해내는 거대 기업으로의 도약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놈앤바이오에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은, 위에 작성된 요인들 외에, 지놈앤컴퍼니의 행보들에 대해 검토후 투자를 고려한다면 더욱 성공적인 투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알아보고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정부에서는 지난 20년 말에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자료를 참고 바랍니다.

 

 정부는 생명공학기술 등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생명자원을 활용하는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 핵심 산업으로 인식하여,

10개 부처·청*이 마련한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확정했습니다.

* 농식품부(주관), 기재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해수부, 중기부, 식약처, 농진청, 산림청

농어업 문제, 환경, 건강 및 질병 치료 등 경제사회적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혁신성장 및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하고, 그린 바이오 5대 유망산업을 2030년까지 2배 이상으로 키우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 및 이행 계획을 담았습니다.

□ 중점과제

▲핵심기술개발, ▲빅데이터, ▲인프라, ▲그린바이오 사업화 전주기 지원, ▲그린바이오 융합 산업 생태계 구축

□ 5대 유망산업 분야​

▲ 마이크로바이옴, ▲ 대체식품·메디푸드, ▲ 종자, ▲ 동물용 의약품, ▲ 기타 생명 소재(곤충, 해양, 산림)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블로그)

 

 

 

 제 2의 지놈이라 불리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분들께서는, 위 3개 업체들에 대해 한번 더 신경을 써보면 좋을 듯 합니다.

 

 

반응형